<현장중심의 한국어 교육-읽기>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교육에서는 말하기 교육에 초점을 두기 쉽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말로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생활은 실제로 기사, 안내문, 간판, 편지 등 문자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언어 교육에서 읽기 능력은 말하기나 쓰기 능력 향상에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모어 화자가 필요한 전보나 지식을 문자언어를 통해 얻고 넓혀 가듯 언어 학습자들도 다양한 주제나 종류의 읽기 자료를 통해서 언어 입력의 양이나 질을 향상시켜 간다. 그런 면에서 읽기 능력은 말하기나 쓰기 능력의 양과 질을 확장시키는 기초이며 전제가 된다.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무엇보다 읽기 전략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읽기 전략을 활용한 읽기 능력 향상을 목표로 읽기 수업을 읽기 전-중-후 세 단계로 나누어,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읽기 수업을 할 때 교사는 다음과 같은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텍스트를 읽기 전에 읽으려는 목적을 분면히 알고 읽는다. -학습자의 관심을 끌 만한 내용이나 실제성이 있는 텍스트를 준비한다.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광고문, 영화표 등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이용한다. -텍스트에 대한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읽는다. -읽는 내용을 예측하거나 새로운 어휘들의 의미를 추측해 가며 읽는다. -텍스트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한 다음,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한다. -읽기 후 단계에서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말하기, 쓰기와 연계된 활동을 한다. <읽기 전 단계> 읽기 전 단계는 학습자들에게 읽기의 목적을 분명하게 알게 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우리가 즐거움이나 정보를 얻기 위해서 글을 읽는 것처럼 학습자들도 읽기의 목적을 알아야 텍스트에 관심과 흥미를 보인다. 그런데 읽기의 목적이 분명해도 학습자에게 텍스트의 주제가 낯설거나 내용이 어려우면 읽으려는 의욕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읽기 전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의 배경 지식을 활용해 읽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켜 주거나 부족한 배경 지식을 보충해 학습 동기를 북돋아 주는 활동들을 한다. 읽기 전 단계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선택할 때는 텍스트의 특성과 난이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적절한 한두 가지 활동을 정해진 시간에 효과적으로 끝내도록 준비한다. 텍스트의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통해 읽을 글의 주제가 무엇인지를 알고 주제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한다. 교사가 직접 텍스트의 주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지만, 보다 적극적인 방법은 학습자들과 함께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의 주제에 대해서 짧은 토론거리를 주고 간단한 토론을 하거나, 학습자들에게 주제와 관련해 겪은 경험이나 알고 있는 지식이 있는지 질문하면서 참여시키는 것이다. 읽기 전 소개 활동이 길어지면 오히려 학습자들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간단한 지룬이나 대답으로 구성한다. 시각 자료 보고 추측하기, 텍스트의 제목이나 주어진 그림, 도표, 설문 조사 등 시각 자료를 보고 텍스트의 주제나 그 내용을 추측하는 활동이다. 시각 자료를 보고 주어진 질문에 답하면서 주제와 관련한 학습자들의 배경 지식을 활성화시켜 준다.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싶다면, 짝이나 소집단으로 나누어 텍스트의 내용을 추측해 보게 한다. 새 어휘 학습하기, 텍스트에 나오는 새 어휘들의 의미를 미리 파악하는 활동이다. 텍스트에 학습자들이 모르는 어휘가 많은 경우 학습 의욕을 잃을 수 있다. 새 어휘의 의미를 학습하면서 텍스트의 주제나 내용에 대해 추픅하거나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텍스트에 나오는 모든 새 어휘들을 제시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의 어휘들은 문맥으로부터 그 의미를 추측해 낼 수 있고 또 추측할 수 있어야 한다. 제시할 어휘는 내용 파악을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중요 어휘로 한정한다. 또한 어휘의 의미를 제시할 때도 사전적인 어휘의 의미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이해를 위한 배경 지식의 일부분으로 전달된다. 자유연상하기 brainstorming, 학습자들이 텍스트의 주제와 관련되어 떠오르는 생각이나 어휘들을 말하면, 교사나 학습자들이 그것들을 칠판에 모두 기록해 보는 것이다. 텍스트에 있는 그림이나 시각 자료를 보면서 말할 수 있고, 제목이나 주제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어휘들을 자유롭게 말할 수도 있다. '새 어휘 학습하기'가 부족한 배경 지식을 보충하기 위한 활동이라면, 자유연상하기는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배경 지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길잡이 질문하기, 텍스트를 읽기 전에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읽으면서 생각해 볼 만한 질문 몇 가지를 준비한다. 길잡이 질문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는데 첫째는 답을 찾아야 할 질문을 줌으로써 목적 의식을 갖고 읽게 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학습자들이 텍스트의 핵심 내용에 주목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좋은 길잡이 질문은 상세한 질문이 아니라 글의 전체적인 내용과 관련한 질문이라야 한다. 질문의 수는 두세 가지가 적당하며, 질문 내용을 칠판에 써서 제시하면 나중에 읽으면서 답을 찾을 때 도움이 된다. 이어질 내용 추측하기, 읽기 텍스트의 내용이 사건 위주라면, 텍스트 내용의 일부만 읽고 그 뒤에 이어질 내용을 예측해 보게 한다. 학습자들은 자신이 상상하거나 예측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텍스트의 나머지 부분을 보다 관심을 가지고 주의 깊게 읽으려고 한다. 읽기 단계는 학습자가 스스로 텍스트를 읽는 단계이다.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 단계별 어휘 지도 (0) | 2022.07.28 |
---|---|
[어휘] 콩글리쉬 (0) | 2022.07.28 |
[어휘] 한국 문화의 이해 접근법 (0) | 2022.07.28 |
[어휘] 사회언어학적 특성 (0) | 2022.07.28 |
[언어학] 어휘 교육 - 동음이의어 (0) | 2022.07.27 |
댓글